- WIL. 최종프로젝트(23) js switch 목차
[이번주 배운점]
팀원분께서 배틀페이지 js를 리팩토링 해주셨는데 거기서 배운점이다.
그동안 배운점이 한두개가 아니긴하다.
module파일,
addEventLisner,
function(e)
Then 등 많다.
JS
<switch-case문>
오늘은 switch case문에 대해 작성을 배우게 되었다.
JS를 사용하며 그동안 갑갑한 부분이 꽤 된다고 생각했는데,
이 switch case문은 꽤나 간결하고 스마트해서 좋다.
switch(key) {
case 'value1':
(중략)
break;
case 'value2':
(중략)
break;
default:
(중략)
}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마치 파이썬에서 딕셔너리를 이용해 메소드 조건 분기를 만들 듯이
key에 대한 value값 분기를 만들수 있다.
default는 필수는 아니지만 적어준다면 case에 모두 해당안될때 default가 실행된다.
그리고 각 case안에는 break을 꼭 적어줘야 한다.
이게 없으면 다음 코드를 이어 실행해버린다. ^^;
결론적으로, 팀원분께서 이 작성법을 이용해
백엔드의 type(method로 명명을 바꿨다) 분기에 대응하는 프론트 페이지 분기를 만드셨다.
이런 분기와 각 동작의 모듈화 덕분에 다른 버그를 찾기 수월했다.
<전역변수 줄이는 노하우>
팀원분의 코드에서 노하우를 얻은 것이데
전역변수를 줄이기 위해,
한 전연변수 딕셔너리 안에 갖은 전역변수를 다 넣어줄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