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L. 최종프로젝트 목차
팀 프로젝트 S.A
https://www.notion.so/S-A-3150b56f57844051a524d4ace0a87903?pvs=4
S.A
💪프로젝트명: 한
www.notion.so
[오늘 함께 고민한 내용]
우리팀이 만드는 프로젝트는 한글 퀴즈 서비스이다.
1. 퀴즈 데이터에 대한 고민
퀴즈를 제공하기 위한 문제 데이터를 적절히 구하는게 고민이였다.
함께 알아본 결과, 두 군데 좋은 자료를 발견했다.
2. 퀴즈 유형에 대한 고민
프로젝트는 듀오링고를 주 모티브로 삼았다. (듀오링고는 한국인에게 영어 학습퀴즈를 제공한다.)
그런데 우리는 한국인에게 한글 학습퀴즈를 제공할 계획이다.
그러려면 듀오링고의 퀴즈 유형들을 그대로 따라할수 없다.
우리는 제공할 문제 유형들을 확실히 정하기 위해,
타겟 사용자를 확실히 좁히고, 그에 따른 알맞은 문제유형 들을 정했다.
함께 고민한 끝에,
한국인 사용자로 그리고 그에 알맞은 3종류 문제 유형을 정했다.
주 타겟은 한국인 인것이다.
3가지 유형중 자료가 파악된 2가지 유형을 우선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3. 퀴즈 모델 설계에 대한 고민
퀴즈는 서비스 전에 한차례만 DB에 입력시키면 될것이다.
그런데 퀴즈의 배경 자료마다 성격이 다르다.
단어사전 쪽은 4지 선다형으로 내야할텐데 수집되는건 정답 단어와 뜻 뿐이다.
단어퀴즈 쪽은 2지 선다형이고 정답과 틀린 보기도 제공된다.
우리는 DB에 어떤 모델 형태로 저장될지 고민했다.
문제 유형별로 모델이 달라야 할지, 모델에는 어떤 데이터까지가 저장되야 할지.
함께 고민한 결과대로 ERD를 설계했다.
4. 퀴즈 저장과 생성에 대한 고민
다만 위에서 말한대로 4지선다, 2지선다등 보기 개수가 다르며 제공형태도 달라서 고민이였다.
이 문제에 대해 우리가 고민해본 방법은 이랬다.
퀴즈DB에 보기 필드를 미리 넉넉히 만들고 선택적으로 보기필드가 채워지게 한다.
튜터님께 문의드려서 피드백을 받을수 있었다.
퀴즈와 보기 모델을 따로 만들어서 아티클-코멘트 모델처럼 외래키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면 퀴즈마다 보기 수가 달라도 수월하게 보기수 만큼 데이터를 제공할수 있다.
DB를 바탕으로 퀴즈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도 역시 고민이였으나,
위에 내용이 정리되면서 어느정도 방법이 잡혔다.
아직 남아있는 고민은 퀴즈를 문제은행식으로 할지, 챕터식으로 할지이다.
우리는 우선 문제은행식 퀴즈 제공을 선택했다.
(챕터식으로 할경우 새로운 고민들이 있을것이다.)
5. 서비스적 고민들
위같은 고민 외에도 우리는 서비스를 함께 상상해보며 여러 고민을 해보았다.
- 로그인 안한 사용자에게 어디까지 제공할지 > 랜딩페이지와 체험 퀴즈까지 제공한다.
- 퀴즈에 재미를 느끼고 자주 찾게 만들수 있을 요소들 > 다양한 보상, 게임처럼 시각적으로 표현되서 재미있게한다.
그외엔
- 어떻게 완성도를 더 추가할수 있을지.
- AI기술을 어떻게 잘 접목할수 있을지.
같은 고민사항이 있었다.
매일 어떤 부분이 진행되었고 어떤 이슈가 고민됬었는지 잘 기록해야겠다.
(주차 호흡이 길다보니 그날그날 적지 않으면 놓치게 될것같다)
우선 블로그에 기록해두고 노션에 회의록에 옮길생각이다.
재밌는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좋겠다!